파이썬 300제[No.011 - 020] - 변수
파이썬 뿐만 아니라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인 변수활용에 대한 문제풀기
No.011 변수 사용하기
문제) 삼성전자라는 변수로 50,000원을 바인딩해보세요. 삼성전자 주식 10주를 보유하고 있을 때 총 평가금액을 출력하세요.
입력) 영어로 변수명을 지정한다. 한글로 변수명일 지어도 되지만 모든 개발자가 영어로 변수를 지으니 함께 따라간다. 변수에 50000 값을 지정하고 10주를 보유하고 있으니 *(곱하기) 연산자를 사용하여 변수 * 10을 해주고 출력한다.
samsung_price = 50000
total_sam_price = samsung_price * 10
print(total_sam_price)
출력)
500000
No.012 변수 사용하기
문제) 다음 표는 삼성전자의 일부 투자정보입니다. 변수를 사용해서 시가총액, 현재가, PER 등을 바인딩해보세요.
항목값
시가총액 | 298조 |
현재가 | 50,000원 |
PER | 15.79 |
입력) 변수명은 한글로도 작성이 가능하지만 영어로 쓰는 것이 통상적인 관례이므로 영어로 변수명을 만들고
각 변수에 맞는 값으로 입력받는다. 각 변수를 print()함수 3번써서 출력할 수도 있지만 코드 상 비효율 적이므로, print 함수 하나에 모든 변수 입력값을 대입시키고 sep 옵션으로 각 변수 값마다 개행을 주어 3줄로 나누어 출력되도록 했음
market_cap = 298000000000000
presentprice = 5000
PER = 15.79
print(market_cap, presentprice, PER, sep="\n")
출력)
298000000000000
5000
15.79
No.013 문자열 출력
문제) 변수 s와 t에는 각각 문자열이 바인딩 되어있습니다.
s = "hello"
t = "python"
두 변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출력해보세요.
실행 예: hello! python
입력) 2가지 방법이 있다. +연산자를 활용한 방법과 sep 옵션을 활용한 방법이다. 아래 코드의 주석 내용 참조
s = "hello"
t = "python"
print(s+"!",t) # !를 ""로 감싸주어 문자처리 후 +연산자로 연결
print(s, " "+t, sep="!") # sep 옵션으로 !를 변수사이에 포함시켜주고 " "로 공백과 +연산자를 활용하여 t변수와 연결
출력)
hello! python
hello! python
No.014 파이썬을 이용한 값 계산
문제) 아래 코드의 실행 결과를 예상해보세요.
2 + 2 * 3
입력) 파이썬에서는 +, -, *, /, //(나눗셈 몫), %(나눗셈 나머지) 등의 사칙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몇 개 연산자는 int(정수) 뿐아니라 float, string 등의 타입에도 사용하여 문자열끼리 붙이고, 빼고를 할 수 있다.
( )를 활용하여 우선 연산도 가능하다
total1 = 2 + 2 * 3
total2 = (2 + 2) * 3
print(total1, total2, sep="\n")
출력)
8
12
No.015 type 함수
문제) type() 함수는 데이터 타입을 판별합니다. 변수 a에는 128 숫자가 바인딩돼 있어 type 함수가 int (정수)형임을 알려줍니다.
아래 변수에 바인딩된 값의 타입을 판별해보세요.
a = "132"
입력) a변수를 type() 함수에 ()안에 입력하면 type 함수의 결과 값이 print()에 의해 출력된다. a변수에 있는 숫자는 int(정수)가 아닌 string(문자열)로 인식된다. 왜냐하면 ""로 묶여 있기 때문이다. b변수에 있는 숫자는 int 형으로 인식된다.
a = "132"
b = 132
print(type(a))
print(type(b))
출력)
<class 'str'>
<class 'int'>
No.016 문자열을 정수로 판단
문제) 문자열 "720"를 정수형으로 변환해보세요.
num_str = "720"
입력) 모양은 숫자더라도 ""사이에 감싸져있으므로 문자열이다. 정수형 변환을 위해서는 "720"이 변수 num_str에 있으므로 정수변환을 위해 int()로 num_str을 감싸주고 출력하면 int 타입으로 변경되어 출력된다.
num_str = "720" # ""사이에 있으므로 720은 string 타입
num_int = int(num_str) # num_str을 int로 감싸서 int 타입으로 변경 및 num_int 변수 삽입
print(type(num_int)) # type함수를 사용하여 num_int 타입확인
출력)
<class 'int'>
No.017 정수를 문자열 100으로 변환
문제) 정수 100을 문자열 '100'으로 변환해보세요.
입력) 변수 num에 입력된 100은 정수(int)타입이다. str()로 감싸서 출력하고 str_num 변수에 입력하면
타입이 str(문자열) 로 변환되어 출력된다.
num = 100
str_num = str(100)
print(str_num, type(str_num))
출력)
100 <class 'str'>
No.018 문자열을 실수로 변환
문제) 문자열 "15.79"를 실수(float) 타입으로 변환해보세요.
입력) 017번 문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해결한다. 문자열 "15.79"를 변수에 입력하고 해당 변수를 float() 로 감싸서 출력하면 소수타입(float)로 변환되어 출력된다.
flo_str = "15.79"
flo_trans = float(flo_str)
print(flo_trans, type(flo_trans))
출력)
15.79 <class 'float'>
No.019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하기
문제) year라는 변수가 문자열 타입의 연도를 바인딩하고 있습니다. 이를 정수로 변환한 후 최근 3년의 연도를 화면에 출력해보세요.
year = "2020"
입력) year변수를 int() 감싸서 정수타입으로 변환시키고, int_year 라는 변수에 값을 넣어준다.
최근 3년의 연도를 화면에 출력해야 하므로 -1, -2, -3 으로 연산하여 출력한다. 또다른 방법으로는 for문을 사용해서 출력한다. for 문은 이후 문제 풀며 자세히 설명하고 이번에는 풀이 코드만 참고해보자
#일반적인 방식
year = "2020"
int_year = int(year)
print(int_year - 1, int_year - 2, int_year - 3, sep="\n")
#for문을 활용한 방식
year = "2020"
int_year = int(year)
last_year = [1, 2, 3]
for i in last_year:
print(int_year - i)
출력)
2019
2018
2017
No.020 파이썬 계산
문제) 에이컨이 월 48,584원에 무이자 36개월의 조건으로 홈쇼핑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. 총 금액은 계산한 후 이를 화면에 출력해보세요. (변수사용하기)
입력) 변수를 지정하고 48584 값을 입력 후 해당 변수에 *(곱하기) 36개월한 값을 다른 변수에 재입력하고 출력한다.
air_month = 48584
total = air_month * 36
print(total)
출력)
1749024
'#개인연구 및 공부# > [python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2020.10.30)파이썬 300제 문제풀기 [No.031 - 040] - 파이썬문자열2 (0) | 2020.10.30 |
---|---|
(2020.10.29)파이썬 300제 문제풀기 [No.021 - 030] - 파이썬 문자열 1 (0) | 2020.10.29 |
(2020.10.28)파이썬 300제 문제풀기 [No.001 - 010] - print() (0) | 2020.10.28 |
python 문제풀기 시작 (1) | 2020.10.28 |
(2020.10.28) 파이썬 추천 책 (0) | 2020.10.28 |
댓글